분류 전체보기(9)
-
Nginx의 소개 1#
WebServer 많이들 들어보셧거나 백엔드, 서버엔지니어, 그리고 DevOps 엔니지어, 인프라 엔지니어 등 특정 분야의 팀들은 필수적으로 알고들 있다. 웹서버란 무엇일까? 위키 백과에서는 두가지를 명시해 놓았다.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위에 언급한 기능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보통은 아래 정의를 보고 서버 컴퓨터라고도 많이 한다. 이 포스팅에서는 첫번째 명시된 웹 서버를 기준으로 설명할 것이다. 필자의 경우 웹서버는 정적 페이지를 처리하는 기술이라고 대충 배워왔는데 자세히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웹서버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에서,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서 불려진 파일을 필요로 할..
2020.10.17 -
AWS Builders Korea for Yeongnam area #1
www.eventservice.kr/2020/aws/1008_builders/index.html AWS Builders Korea for Yeongnam area 자세한 사항은 이곳을 클릭하여 확인하세요. www.eventservice.kr 현재 위 사이트로 AWS에서 온라인 세미나 할 계획이다. 필자의 경우 처음으로 AWS에서 주최하는 세미나는 처음 참석하기 때문에 매우 기대하며 포스팅할 계획이니 최대한 열심히 써보겟다. (물론 각 주제별 다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가 할려고하는 DevOps에 맞춰서 해당하는 주제로 포스팅할 것이고 내용이 방대할 경우 느려질 수도 있고 나눠서 포스팅하려고 한다.) 각 날짜 별로 주제는 이렇다 그래도 자기 분야가 아니더라도 한번 들어보는 것도 나쁘지않을꺼 같다.
2020.10.16 -
Jenkins란? 그리고 Docker를 이용한 설치 1#
최근 몇 년 동안 애자일 방법론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했다. 이런 현상의 원인 중 하나는 전자상거래 영역에서 잦은 변경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는 소프트 웨어 배포 솔루션을 원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지속적 통합(CI)과 지속적 배포(CD) 방법론은 사람(개발자사람임;적어도 아이와 할머니,할아버지는 아닐것이다.)들의 관심을 받게된다. 대다수 프로젝트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런 방법론의 효과를 보고 있다. 이슈의 조기 발견, 지저분한 코드가 상용 코드에 들어가는 것을 막고, 빠르게 배포하는 것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필자는 강의를 트레비스 맛을 봣지만 젠킨스는 처음이기에 부족한 내용이나 틀린 내용도 있을 것이다. 처음 공부하면서 포스팅을 통해 정리한 내용이니 가볍게 보길 바란다. (피드백이나 틀..
2020.10.16 -
Docker Basic-1 Engine & 명령어 활용 2#
시작하기에 앞서 필자는 앞으로 다양한 OS로(그래봐야 macos, ubuntu) 그리고 AWS나 GCP를 통해 포스팅을 할 예정이며 포스팅을 보면서 같이 공부할 분들은 자기 편한걸로 하면 될 것 이다. (모든 곳에서 docker명령어는 변경없음) 그러므로 이 포스팅에서는 간단한 활용이기에 MacOS 카탈리나로 할 것이다. 우리는 전 시간에 도커가 무엇인지 그리고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이제부터는 도커를 어떻게 활용해야되느지 그리고 기초적인 명령어를 통해 도커의 컨테이너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현세대 최고의 트렌드 MicroService 컨테이너 기술의 표준!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에 국한 되지 않고 의존성 및 파일 시스템까지 패키징하여 빌, 배포, 실행을 단순화한다. 어떻게 하냐; 도커는 다양..
2020.10.16 -
Kubernetes Roadmap 3#
쿠버네티스 설치가 끝났으면 드디어 사용해 볼 차례이다. 하지만 Kubernetes 난이도 어마어마하다. (필자는 비전공자라 더 그렇게 느끼지만 다행인건 도커의 깔고 들어가기때문에 비슷한게 많다.) 필자의 경우 그냥 인강만 주구장창 봐왔다. 그저 무식하게 실습만 했다는 것이다. 그렇게 보면서 느낀게 그져 끝없는 책만 읽을뿐 머리에 들어오지 않다는 것이다. (그래서 블로그 적으면서 정리하고 있다.) 그래도 못할건 없다. 차근차근 정리해가면서 익숙해지다보면 언젠가는 깨닫고 CKA도 따고 전문가의 길로 들어서게 될것이다. 이번 포스트는 앞에서 가볍게 얘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번 기회에 큰그림부터 정리하려고 한다. 1. Kubernetes Architecture 2. Kubernetes Object 3. kuber..
2020.10.15 -
Docker의 기초 1#
공부하기에 앞서 도커는 솔직히 너무 핫해서 정보가 너무너무 많다. 그래서 필자가 언급못한 부분도 많으니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따로 공홈이나 상세히 잘 적힌 블로그가 많으니 찾아보길 바란다. 그리고 틀린 내용이나 피드백 있을 경우 댓글 달아주길 바람. 본격적을 시작해보겟다. 1. 도커의 등장 2. 도커 실행 원리 3. 도커 설치 - 도커의 등장 개발자라면 모든 이가 공감할 것이다. 개발하기도 전에 지치는 일, 개발환경 구축 및 세팅... 정말 최악이라면 구축 및 세팅이 안되서 다른 툴로 갈아타는 일이도 있었을 것이다. 의미없는 삽질은 존재하지않지만 그래도 삽질은 삽질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도커는 이런 부분을 바로 해결해준다. 솔직히 시간이 걸리더라도 결국은 구축하지만 공부하는 입장에서는 위화감이 안드는..
2020.10.14